열등감 5

어린시절의 열등감 수치심 극복일기

어린시절의 열등감 수치심 극복일기 어릴때 난 나를 혐오했다. 소심하고 키작고 돈없고 못생겼고 잘울고 마음약한 내가 무능력해 보였다. 아니 쓸모없는 인간처럼 보였다. 깊은 우울증이 있었다. 열등감 덩어리였다. 내 존재가 싫은 수치심 가득했다. 그땐 내가 나를 확신했다. 이런 내 모습으로 성공할수 없고 행복할 수 없을거라고. 매일 칼들고 설치는 아빠땜에 누군가는 죽어야 끝날거라는 확신. 어떤 노력은 하더라고 극복불가 ㅠ 그런 확신이 철저하게 붕괴됐다. 난 섬세해지고 있다. 키작은 내가 맘에 들었다. 돈은 내 노력만큼 벌수 있다. 거울에 비친 내 얼굴이 괜찮다. 내가 불쌍해서 울일은 거의 없다. 마음약한 내가 점차 유연해진다. 열등감과 수치심이 사라지고 자존감이 높아지고 미움받을 용기가 생겼다. 난 어린시절의..

청명 행복칼럼 2024.09.11

자격지심 열등감 극복하는 긍정적인 마음

자격지심 열등감 극복하는 긍정적인 마음    일단 이 두가지 개념의  뜻과 정의를 알아보자.  자격지심이란?내가 한일에 대해 스스로 흡족하지 못하는 마음상태열등감이란?나를 남보다 못났다고 생각하는 감정상태 흔히들 말한다.   너 그거 자격지심아니야?너 열등감 쩐다? 이 두 개념은 조금 상이할수는 있겠지만 근본 뿌리는 마음의 상처(트라우마)로 본다. 결국 태어나는 순간 부모든 친구든 주변 사람에게 충분히 있는 그대로 존중받지 못하고 조건화된 비교나 평가에 의해서 자기존재감이 상실되었다. 자꾸 남이 나를 비난하고 욕할 것 같은 두려움, 남들은 다 잘하는데 나만 못나 보이는 감정, 타인의 부정적인 말이 나를 향하는것 같은..     자격지심의 뿌리는 바로 완벽주의다.완벽하게 하지 않으면 내가 못난 존재가 되어..

우울 불안강박 2024.06.26

피해망상증&피해의식 있는 사람 특징

피해망상증&피해의식 있는 사람 특징 피해의식은 일단 내가 피해자라는 인식 관념입니다. 그래서 타인과 대화나 소통할때 동등한 관계가 아니라 약자 입장에서 피해자 입장에서 화를 내거나 억울해하거나 울분을 통하는등 지나치게 진지 격분하며 반응하게 됩니다. 마치 내가 지금 공격받거나 피해를 입는것 같은 감정 동요로 인해서 건강한 소통 대화가 어려워질수밖에 없습니다. 이 피해의식이 심해지고 의식적으로 통제가 어려워질때 피해망상증이 되곤 합니다. 피해의식은 현실에 대한 부정관념과 같지만 피해망상은 있지 않는 일에 대해서 있는것처럼 착각하며 실제처럼 여기는 증상입니다. 피해의식은 누구나 존재하지만 피해망상으로 악화되지 않도록 자기마음을 잘 관리해야겠습니다. 물론 이런 마음 증상이 생긴 사람을 탓하거나 비난하고자 하는..

우울 불안강박 2023.10.19

자존감 높이는 방법&자존감 낮은 사람특징

자존감 높이는 방법&자존감 낮은 사람특징 https://youtu.be/QOf-iUzfy9I 유튜브 강의 : 열등감, 수치심이 많은 사람특징 ------------------------------------------------ 현대인들에게 가장 자주 거론되는 심리용어는 바로 자존감이다. 자신을 얼마나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가에 대한 느낌으로 한 사람의 멘탈이 평가된다. 자존감은 심리에 있어서 뿌리와도 같다. 뿌리가 튼튼하면 아무리 비바람이 불어도 흔들리지 않는다. 그런데 그 뿌리가 약하고 덜렁덜렁 불안정하면 바람만 살짝 불어도 엄청난 타격을 받게 된다. 이를 인간관계 심리로 봤을때는 더욱더 심각하다. 남의 말 한마디에 내가 쉽게 휘둘린다. 남의 행동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항상 긴장하고 주변의 눈치..

청명 행복칼럼 2023.04.15

엄마의 피해의식(열등감)과 아이의 자존감심리

엄마의 피해의식(열등감)과 아이의 자존감심리 겸손하고 타인을 배려하는덕목은 참으로 훌륭하다.자연스럽게 이런 모습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자존감이 높은 것이다.그런데 피해의식이나 열등감으로 인해서 남에게 잘 보이려고 하거나, 남과의 경쟁에서 이기려고 집착을 하거나,자신의 부족한 모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가면을 쓰며 살아가는 이들이 있다.겉으로는 참으로 순해보인다.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남에게 좋은 사람으로 보이기 위해서엄청나게 애를 쓰며 살아간다. 오늘 하고싶은 이야기는피해의식, 열등감을 지닌 엄마가 어떻게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내용이다.물론 엄마도 사람이다. 그런데 그 엄마의 부족한 심리는 자녀의 인성이나자존감형성에 있어서 절대적이다.당신이 어린시절 힘들게 살았기에자녀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고자..

우울 불안강박 2018.05.23